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sep
- 파이썬 |
- MomentumParameters
- 개발자사이드프로젝트
- 파이썬 int()
- 99클럽
- vscode cp949
- 개발자스터디
- Til
- 파이썬 클래스
- 주니어개발자역량강화
- 항해
- not a git repository
- 코딩부트캠프후기
- 항해99
- 10430번
- 코딩테스트
- print sep
- EnvCommandError
- 백준
- 항해플러스
- print("""
- 파이썬
- fatal:not a git repository
- 파이썬 map 함수
- 99일지
- 주니어개발자멘토링
- Fatal Python error: init_fs_encoding: failed to get the Python codec of the filesystem encoding
- cp949
- 99클럽 #99일지 #코딩테스트 #개발자스터디 #항해 #til
- Today
- Total
선발대
[스파르타] 자료구조, 알고리즘 2주차 (완강) 본문
1. 수업 후기
- 강의 개수: 10개
- 총 강의시간: 1시간 49분
- 수업 목표:
- 1. 어레이와 링크드 리스트에 대해 배우고 차이점을 익힌다.
- 2. 이진 탐색의 효율성과 전제 조건에 대해 배운다.
- 3. 재귀함수의 방법과 전제 조건에 대해 배운다.
링크드 리스트 수업 각각 20분짜리 2강 듣는 동안, 2시간이 지났다. 오늘 어레이와 링크드 리스트를 새롭게 배웠다. 링크드 리스트는 중반부로 갈수록 재미있다. 예전에 초등학생 때 유행하던 창의력 퀴즈 같은 거 푸는 느낌이다. 완전 기초적인 내용이겠지만 답을 볼 때마다 신기하다.
그렇지만 아직은 공부가 더 많이 필요하다. 중간의 연습문제마다 2분의 생각할 시간을 주는데 30분 넘게 잡고 있어도 실마리 끝만 아른거릴 뿐, 명확한 풀이를 찾지 못했다. 매번 이렇게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니 하고 놀라고 있다. 너무 인간의 관점에서 보다 보니, 당연하다고 생각한 부분도 막상 컴퓨터에게 전달하려니 그 과정이 어렵다.
기존의 강의와 달리 알고리즘 강의는 총 수강 시간이 엄청 오래 걸렸다. 새로운 개념을 배워서 그런 것도 있지만, 아무래도 직접 문제를 몇십 분이고 고민하다 보니 진도가 계속 늘어지고 있다. 아직 기초를 쌓는 단계니까 더 문제도 많이 풀어보고 열심히 해보자. 화이팅~
2. 수업내용 정리
2-1. 2주차 오늘 배울 것
01. 시작하기 전에!
- 자료구조, 알고리즘을 배우는 이유?
- 자료구조는 여러 개가 있음.
- 각 자료구조마다 최적화된 기능이 다름. (ex. 삽입/삭제에 특화, 조회에 특화)
- 각 공구의 사용법을 하나씩 배워간다고 생각해라.
02. 어레이와 링크드 리스트!
- 어레이: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링크드 리스트: 노드, 포인터로 구성됨
- 면접에서 자주 나옴.
03. 이진 탐색과 재귀 함수
- 이진 탐색(Binary search): 범위의 반을 쪼개면서 탐색하는 방식
-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범위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방식
- 재귀 함수 (Recursive Functions): 자기 자신을 부르는 함수
2-2. 어레이와 링크드 리스트
01. 어레이
- 배열(Array): 크기가 정해진 데이터 공간. 한번 정해지면 변경 불가. ex) 최대 정원 8명의 호텔
- 인덱스: 배열[N], 배열은 원소에 즉시 접근 가능. 원소 순서는 0부터 시작. 이를 인덱스라 부름.
- 즉시 접근 가능함 = 상수 시간 내에 접근 가능함 = O(1) 내에 접근 가능함
- 코딩에서 변수 옮길 때 한번에 하나씩 옮기므로 최대 2개씩만 옮길 수 있음.
- 배열은 원소를 중간에 삽입/삭제하려면 모든 원소 다 옮겨야 됨.
- 최악의 경우, 배열 길이 N만큼 옮김 = 시간 복잡도: O(N)
- 원소 새로 추가하려면 새로운 공간 할당해야함. (원소 추가 시엔 매우 비효율적인 자료구조)
02. 링크드 리스트
- 리스트(Linked List):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공간. 연결고리로 잇기만 하면 자유롭게 변화 가능.
- ex) 5칸의 화물열차, 연결고리(포인터), 화물 칸(노트)
- 리스트는 특정 원소에 접근하려면 연결 고리를 따라 탐색해야 함.
- 최악의 경우, 모든 원소 탐색해야 함. = 시간복잡도: O(N)
- 리스트는 원소를 중간에 삽입/삭제하려면 앞뒤의 포인터만 변경하면 됨
- 원소 삽입/삭제 시간복잡도: O(1)
03. 정리
- 면접에서 자주 출제되는 중요 개념임. 바로 나와야 함.
Array | LinkedList | |
특정 원소 조회 | O(1) | O(N) |
원소 중간에 삽입, 삭제 | O(N) | O(1) |
데이터 추가 | 빈 공간이 없는데, 데이터 추가시 새로운 메모리 공간 할당받아야 함. |
빈 공간 없는데, 데이터 추가시 맨 뒤의 노드만 동적으로 추가하면 됨. |
정리 | 데이터 접근이 빈번한 경우 사용 | 삽입, 삭제가 빈번한 경우 사용 |
- 궁금증: 파이썬 배열은 list라 부르고 append를 종종 하는데, 과연 array일까 아님 list일까?
- 답: 파이썬의 list는 array로 구현되어있음.
- 그렇지만 내부적으로 동적 배열이라는 것으로 설계하여, 배열 길이가 증가해도 시간 복잡도 = O(1)
- 결론: 파이썬 배열은 링크드 리스트, 배열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료구조이다.
2-3. 클래스
01. 클래스란?
- 클래스: 분류, 집합 같은 속성과 기능을 가진 객체를 총칭하는 개념
- 객체: 세상에 존재하는 유일무이한 사물
- ex. 클래스가 동물이면 객체는 강아지가 될 수도 있고, 고양이도 가능
- 클래스 사용하면 같은 속성과 기능을 가진 객체를 묶어서 정의할 수 있음.
class Person:
pass # 여기서 pass 는 안에 아무런 내용이 없다는 의미
person_1 = Person() # person_1에 클래스를 통한 새로운 객체를 만들겠다.
print(person_1) # <__main__.Person object at 0x1090c76d0>, Person 이라는 클래스에 객체가 생성되었다. 주소값으로 분류.
person_2 = Person()
print(person_2) # <__main__.Person object at 0x1034354f0>
- 생성자: 생성 시 호출되는 함수.
- 클래스의 생성자(Constructor): 객체 생성 시 데이터 입력, 또는 내부적으로 원하는 행동을 실행해준다.
- 파이썬 생성자 함수 이름: _init_ 으로 고정됨.
- self: 객체 자신을 가리킴. 따로 파라미터 넣지 않고 self 로 호출하면 알아서 self 에 자기자신 입력.
- constructor 생성, 내부에 있는 함수를 만들 때 인자에 자기 자신을 넘겨주는 것임.
- self 로 객체에 데이터 쌓기 가능. self.name = param_name # 자기자신 객체의 name 변수에 입력됨.
- 클래스를 이용하면 유사한 행동, 데이터를 쌓을 수 있게 구조를 쉽게 만들 수 있음. 틀 같은 느낌.
- 메소드(method): 클래스 내부의 함수
- 클래스 이용하면 연관성 있는 데이터들을 클래스 내에서 관리 가능, 다양한 객체들의 쉬운 생성 가능.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param_name):
print("i am created!", self)
self.name = param_name # 자기 자신에게 param_name 을 저장하겠다.
# 메소드: 클래스 내부의 함수. ex) 우리는 talk 메소드를 만든 거야.
def talk(self): # self는 항상 존재해야 함.
print("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self.name, "입니다.")
person_1 = Person("유재석") # () == __init__()
print(person_1.name)
print(person_1)
person_1.talk()
person_2 = Person("박명수")
print(person_2.name)
print(person_2)
person_2.talk()
2-4. 링크드 리스트 구현 (1)
01. 링크드 리스트 append 함수 만들기
- 기관실의 각각의 칸을 노드라고 표현해보자.
- 노드가 필요한 정보 2가지: 1) 칸에 있는 데이터(ex. 기관실, 자갈), 2) 다음 칸의 정보 (포인터)
- 두 가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클래스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 01.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 3이 저장되고,
self.next = None # 현재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는 아무 것도 가리키지 않는 상태
# 다음 포인터를 지목하지 않으면 연결되지 않는다.
node= Node(3)
print(node)
## 02.
first_node = Node(5) # 현재는 next 없이 하나의 노드만 있음. [5]
second_node = Node(12) # [12]를 들고 있는 노드 하나 생성.
first_node.next = second_node # [5]의 next를 [12]로 지정함. [5] -> [12]
## 03.
# 노드를 계속 연결해주려면 매번 쳐야 하는가? 아니다.
# 이럴 때 클래스를 이용해서 반복행동을 간단하게 해준다. #04에 이어서.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node = Node(3) # [3]
first_node = Node(4) # [4]
node.next = first_node
print(node.next.data)
## 04.
# LinkedList 라는 클래스를 만드는데, 딱 head node 만 들고 있음. (맨 앞 칸만 저장함)
# 1. LinkedList 는 self.head에 시작하는 노드를 저장한다.
# 2. 다음 노드를 보려면 각 노드의 next를 조회해서 찾아가야 함.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data):
self.head = Node(data)
# LinkedList 끝에 새로운 노드를 붙이고 싶다면, head 노드를 따라 맨 뒤까지 이동 필요.
# 맨 끝 노드는 next가 None 이므로 while 문 사용.
# 예외처리: self.head가 None 인 경우.
def append(self, data):
if self.head is None:
self.head = Node(data)
return # 함수 종료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print("cur is ", cur.data)
cur.next = Node(data)
linked_list = LinkedList(3)
linked_list.append(4)
linked_list.append(5)
02. [실습] 링크드 리스트 모든 원소 출력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data):
self.head = Node(data)
def append(self, data):
if self.head is None:
self.head = Node(data)
return # 함수 종료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 print("cur is ", cur.data)
cur.next = Node(data)
def print_all(self):
cur = self.head # 맨 처음 cur의 위치는 head
while cur is not None: # 마지막 None이 아닐 때까지 이동
print(cur.data) # 하나씩 출력해준다.
cur = cur.next
linked_list = LinkedList(3)
linked_list.append(4)
linked_list.append(5)
linked_list.print_all() # 3, 4, 5 출력됨
2-5. 링크드 리스트 구현 (2)
01. [실습] 링크드 리스트 원소 찾기 / 원소 추가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def append(self, value):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cur.next = Node(value)
def print_all(self):
cur = self.head
while cur is not None:
print(cur.data)
cur = cur.next
## 링크드 리스트 원소 찾기: 링크드 리스트에서 index번째 원소 반환하기
def get_node(self, index):
# index = next node로 가는 것을 n번 하는 것.
node = self.head # 맨 처음 시작점
count = 0 # 인덱스만큼 이동하는 횟수
while count < index: # 인덱스보다 작으면 계속 이동
node = node.next
count += 1
return node # index와 같아지면 그곳의 node 반환
## 링크들 리스트 원소 추가: index번째 원소를 추가하시오
def add_node(self, index, value):
new_node = Node(value) # [6], 새로운 값
if index == 0:
new_node.next = self.head # [6] -> [5]
self.head = new_node # head -> [6] -> [5] -> ...
return
node = self.get_node(index-1) # [5]. 같은 클래스 내의 함수 호출 가능, index번째의 요소 가져오기
# index - 1 을 해야지 index 번째에 추가 가능하다.
# -1 이라는 코드가 있다면 0에 대한 예외처리 해야 함.
next_node = node.next # [12], 기존 노드의 다음 칸을 미리 저장해둔다.
node.next = new_node # [5] -> [6]
new_node.next = next_node # [6] -> [12]
linked_list = LinkedList(5)
linked_list.append(12)
linked_list.append(8)
print(linked_list.get_node(0).data) # -> 5를 들고 있는 노드를 반환해야 합니다!
linked_list.add_node(1, 6)
linked_list.print_all()
02. [실습] 링크드 리스트 원소 삭제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def append(self, value):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cur.next = Node(value)
def print_all(self):
cur = self.head
while cur is not None:
print(cur.data)
cur = cur.next
## 링크드 리스트 원소 찾기: 링크드 리스트에서 index번째 원소 반환하기
def get_node(self, index):
# index = next node로 가는 것을 n번 하는 것.
node = self.head # 맨 처음 시작점
count = 0 # 인덱스만큼 이동하는 횟수
while count < index: # 인덱스보다 작으면 계속 이동
node = node.next
count += 1
return node # index와 같아지면 그곳의 node 반환
## 링크들 리스트 원소 추가: index번째 원소를 추가하시오
def add_node(self, index, value):
new_node = Node(value) # [6], 새로운 값
if index == 0:
new_node.next = self.head # [6] -> [5]
self.head = new_node # head -> [6] -> [5] -> ...
return
node = self.get_node(index-1) # [5]. 같은 클래스 내의 함수 호출 가능, index번째의 요소 가져오기
# index - 1 을 해야지 index 번째에 추가 가능하다.
# -1 이라는 코드가 있다면 0에 대한 예외처리 해야 함.
next_node = node.next # [12], 기존 노드의 다음 칸을 미리 저장해둔다.
node.next = new_node # [5] -> [6]
new_node.next = next_node # [6] -> [12]
## 링크드 리스트 원소 삭제: 링크드 리스트에서 index번째 원소 제거하기
def delete_node(self, index):
if index == 0:
self.head = self.head.next # 아예 헤드 날려버리기
return # 밑의 코드를 호출하지 않도록 return
node = self.get_node(index-1)
node.next = node.next.next # 간단!
return
linked_list = LinkedList(5)
linked_list.append(12)
linked_list.append(8)
print(linked_list.get_node(0).data) # -> 5를 들고 있는 노드를 반환해야 합니다!
linked_list.add_node(1, 6)
linked_list.delete_node(1)
linked_list.print_all() # 얘는 제일 마지막으로.
2-6. 링크드 리스트 문제
01. [실습] 두 링크드 리스트의 합 계산
## [6][7][8] + [3][5][4] = 1032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def append(self, value):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cur.next = Node(value)
def get_linked_list_sum(linked_list_1, linked_list_2):
# 링크드 리스트에서 저장해놓은 값은 항상 head 밖에 없음.
sum_1 = _get_linked_list_sum(linked_list_1)
sum_2 = _get_linked_list_sum(linked_list_2)
return sum_1 + sum_2
def _get_linked_list_sum(linked_list):
linked_list_sum = 0
head = linked_list.head
while head is not None:
linked_list_sum = linked_list_sum * 10 + head.data # 가면서 10씩 곱하면서 더해준다.
head = head.next
return linked_list_sum
linked_list_1 = LinkedList(6)
linked_list_1.append(7)
linked_list_1.append(8)
linked_list_2 = LinkedList(3)
linked_list_2.append(5)
linked_list_2.append(4)
print(get_linked_list_sum(linked_list_1, linked_list_2))
02. 요세푸스 문제
2-7. 이진 탐색
01. 이진 탐색 vs 순차 탐색
- 순차 탐색: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탐색
def is_existing_target_number_sequential(target, array):
for number in array:
if target == number:
return True
return False
- 이진 탐색: 범위의 절반씩 후보를 줄이면서 탐색
- 이진 탐색은 업다운 게임에서 범위의 중간을 기준으로 탐색하는 방식임.
- 숫자 내림하는 연산자: //
- [퀴즈] 1~16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배열이 있다. 배열 내에 14 존재하면 True, 아니면 False 반환.
def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target, array):
current_min = 0 # 현재 최솟값 인덱스
current_max = len(array) - 1 # 현재 최댓값 인덱스
current_guess = (current_min + current_max) // 2 # 현재 추측값 인덱스
while current_min <= current_max:
if array[current_guess] == target:
return True
elif array[current_guess] < target:
current_min = current_guess + 1
else:
current_max = current_guess - 1
current_guess = (current_min + current_max) // 2
return False
02. 시간 복잡도 분석
- 이진 탐색: O(logN) # 연산량이 반으로 나눠지는 경우. 상수는 무시해도 되므로 logN
- k번 탐색하면 반절이 줄어드니 N/2^k 개가 남음. ∴ N/2^k = 1 (∵ 정답 1개), 즉 k = log_2(N)
- 순차 탐색: O(N)
03. [실습] 무작위 수 찾기
- 다음 같은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2가 존재하면 True, 존재하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해라.
- 배열: [0, 3, 5, 6, 1, 2, 4]
- 힌트: 이진탐색은 일정한 규칙으로 정렬되어 있는 데이터일 때만 사용 가능하다. 무작위 정렬은 사용 불가능.
2-8. 재귀 함수 - 1
01. 재귀란?
- 재귀(Recursion): 어떤 것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참조하는 것
- 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 재귀함수 사용이유: 간결하고 효율성 있는 코드 작성할 수 있음.
- 재귀함수는 반드시 빠져나가는 지점(탈출 조건)을 명확히 지정해야 함. 안 그러면 무한 루프로 에러 발생.
- [퀴즈] 60 → 0 까지 숫자를 출력하시오.
def count_down(number):
if number < 0:
return
print(number)
count_down(number - 1)
count_down(60)
2-9. 재귀 함수 - 2
01. [실습] 팩토리얼
- 팩토리얼: 1부터 어떤 양의 정수 n까지의 모든 정수를 곱한 것
- Factorial(n) = n * Factorial(n-1) ... Factorial(1) = 1
- 반복되는 구조니까 재귀함수로 해결할 수 있다.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1
return n * factorial(n - 1)
print(factorial(5))
02. [실습] 회문 검사
- 회문(palindrome): 앞으로 읽든, 뒤로 읽든 똑같은 단어나 문장을 의미. ex) 일요일, 토마토
- 재귀함수의 목적은 문제를 점점 좁혀나가는 것임. 특정 구조가 반복되는 양상 속에서 문제 축소하기.
- [퀴즈] 문자열 'abcba' 가 입력되었을 때, 회문이라면 True, 아니라면 False를 반환하시오.
input = "abcba"
## 재귀함수 없이 작성해보기
def is_palindrome(string):
n = len(string) # 5
for i in range(n): # 0 ~ 4까지 돌기
if string[i] != string[n-1-i]:
return False
return True
## 재귀함수로 작성해보기
def is_palindrome(string):
if len(string) <= 1:
return True
if string[0] != string[-1]:
return False
return is_palindrome(string[1:-1])
print(is_palindrome(input))
2-10. 2주차 끝 & 숙제 설명
01. [실습] 링크들 리스트 끝에서 K번째 값 출력하기
- 링크드 리스트 끝에서 K번째 값을 반환하시오.
- 1. 한 바퀴 돌면서 길이를 알아낸 다음, 그 길이에서 k만큼을 뺀 순서의 노드를 반환한다.
def get_kth_node_from_last(self, k):
length = 1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cur = cur.next
length += 1
end_length = length = k
cur = self.head
for i in range(end_length):
cur = cur.next
return cur
- 2. k만큼의 길이가 떨어진 포인터 2개를 두고, 끝의 노드가 마지막에 도달하면 k번째 노드도 반환 가능.
def get_kth_node_from_last(self, k):
slow = self.head
fast = self.head
for i in range(k):
fast = fast.next
while fast is not None:
slow = slow.next
fast = fast.next
return slow
- 그렇지만 결국 링크드리스트 끝까지 가야하므로 시간복잡도는 둘 다 O(N)으로 동일.
- 두 번째 방법은 두 개의 공간값을 가지고 이동해야하므로 연산량도 첫 번째와 비슷하게 사용함.
- 따라서 두 번 도는 첫 번째 방법보다, 한 번 도는 두 번째 방식이 무조건 빠른 건 아님.
02. [실습] 배달의 민족 가능 여부
- 메뉴 = ['떡볶이', '만두', '오뎅', '사이다', '콜라']
- 유저 = ['오뎅', '콜라', '만두']
- 현재 주문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반환하시오.
- 팁: [배열 정렬하는 법] 배열명.sort() → 숫자, 문자도 가능함
- 1. 배열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한 뒤, 이진 탐색 사용.
- 시간복잡도: O(N*logN) (menu 길이: N) + O(M*logN) (orders 개수: M) = O((M+N)*logN)
def is_available_to_order(menus, orders):
menus.sort()
for order in orders:
if not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order, menus):
return False
return True
def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target, array):
current_min = 0
current_max = len(array) - 1
current_guess = (current_min + current_max) // 2
while current_min <= current_max:
if array[current_guess] == target:
return True
elif array[current_guess] < target:
current_min = current_guess + 1
else:
current_max = current_guess - 1
return False
- 2. 정렬할 필요 없이, 집합 자료형 사용하면 쉽게 해결됨.
- 시간복잡도: menus → menus_set, O(N) (orders 길이: N)
- 집합 내에서 탐색 시간복잡도는 O(1), 주문 개수 M만큼 반복하므로 O(M)의 연산이 필요함.
- 따라서, 총 O(M+N)의 시간복잡도가 소요됨.
def is_available_to_order(menus, orders):
menus_set = set(menus)
for order in orders:
if order not in menus_set:
return False
return True
- in 연산자는 어떤 자료형을 탐색하느냐에 따라 시간복잡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 ex) list는 O(N), set에 대한 in 연산은 O(1)의 시간복잡도로 처리함.
03. [실습] 더하거나 빼거나
- numbers = [1, 1, 1, 1, 1], target_number = 3, 더하기와 빼기로 타겟넘버 만드는 경우의 수를 반환하라.
- 하나씩 원소를 추가할 때마다, 새로 추가된 원소를 더하고 빼는 경우의 수를 추가하면 된다.
## 모든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방법
numbers = [2, 3, 1]
target_number = 0
result = [] # 모든 경우의 수를 담기 위한 배열
def get_all_ways_to_by_doing_plus_or_minus(array, current_index, current_sum, all_ways):
if current_index == len(array): # 탈출조건!
all_ways.append(current_sum) # 마지막 인덱스에 다다랐을 때 합계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return
get_all_ways_to_by_doing_plus_or_minus(array, current_index + 1, current_sum + array[current_index], all_ways)
get_all_ways_to_by_doing_plus_or_minus(array, current_index + 1, current_sum - array[current_index], all_ways)
get_all_ways_to_by_doing_plus_or_minus(numbers, 0, 0, result)
print(result)
# current_index 와 current_sum 에 0, 0을 넣은 이유는 시작하는 총액이 0, 시작 인덱스도 0이니까 그렇습니다!
# 모든 경우의 수가 출력됩니다!
# [6, 4, 0, -2, 2, 0, -4, -6]
## 경우의 수를 구하는 법
numbers = [1, 1, 1, 1, 1]
target_number = 3
result_count = 0 # target 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의 수를 담기 위한 변수
def get_count_of_ways_to_target_by_doing_plus_or_minus(array, target, current_index, current_sum):
if current_index == len(array): # 탈출조건!
if current_sum == target:
global result_count
result_count += 1 # 마지막 다다랐을 때 합계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return
get_count_of_ways_to_target_by_doing_plus_or_minus(array, target, current_index + 1,
current_sum + array[current_index])
get_count_of_ways_to_target_by_doing_plus_or_minus(array, target, current_index + 1,
current_sum - array[current_index])
get_count_of_ways_to_target_by_doing_plus_or_minus(numbers, target_number, 0, 0)
# current_index 와 current_sum 에 0, 0을 넣은 이유는 시작하는 총액이 0, 시작 인덱스도 0이니까 그렇습니다!
print(result_count) # 5가 반환됩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 강의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파르타] 협업을 위한 Git 활용 기초 1주차 (완강) (0) | 2021.12.27 |
---|---|
[스파르타] 자료구조, 알고리즘 3주차 (완강) (0) | 2021.12.22 |
[스파르타]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5주차 (완강) (0) | 2021.12.16 |
[스파르타]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4주차 (완강) (0) | 2021.12.16 |
[스파르타] 웹 프로그래밍 A-Z 기초 3주차 (완강) (0) | 2021.12.15 |